interview

인터뷰 interview

1609 땅이 된 바다_김순임 인천아트플랫폼 웹진 인터뷰

땅이 된 바다. 김순임

 

개항장 일대를 걷다보면 불과 100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바다가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지 못한다. 그리고 인천아트플랫폼이 서 있는 이곳 또한 과거에 바다였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9월 바람이 분다. 바다로 부터..., 그리고 바다로 부터 온 무엇이 인천아트플랫폼 스튜디오 앞에 거대한 나무가 되어 자라났다. 김순임 작가의 작품 <굴 땅>이다.

김순임은 일정 공간에서 리서치 과정을 통해 주변 사람들의 정서, , 공간이 형성되어 온 배경 등을 주로 자연물을 이용해 예술 형태로 발전시킨다. 작품 <굴 땅>은 인천 해안가 사람들의 고된 삶의 역사가 그 지역 생계수단인 굴과 그 껍질로 덮혀 개간된 땅 위에 살고 있음에 주목한 작업이다. 작가가 직접 그곳에서 수집한 굴 껍질과 같은 오브제를 사용해 만든 설치작품은 그들의 삶과 노동, 소멸이 잉태한 새로운 생성을 상징한다. 또한 바다를 땅으로 일구고 척박한 삶과 역사를 버텨내며 살아온 이 지역 사람들의 생명력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한다. 김순임 작가의 개인전 땅이 된 바다1030일 까지 진행되며 인천아트플랫폼 오픈스튜디오 연계전시 웻페인트 WET PAINT(2016.8.26-9.25 B,G1,G3 전시장)에서는 본 작업을 위해 기록된 작업영상과 도면, 모형 등과 같은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볼 수 있다.

 

Q1. 이번 전시땅이 된 바다의 작품 <굴 땅>에 대해 이야기 해 달라.

바닷가에 이주한 땅 없는 사람들은 바다가 공짜로 내어준 굴을 캐어 팔아 가족과 자신을 생존케 하면서 오랜 시간 이 곳(인천 만석동)에서 살았다고 한다. 팔고 버려지는 것은 산처럼 쌓이는 굴 껍질들... 한 생명체의 집이었지만 또 다른 생명(사람)을 위해 내어주고, 그 껍질들로 다시 해변을 메우고 땅을 개간하여 이 사람들은 집을 짓고 살았다고 한다. 굴로 개간된 땅들은 점점 넓어져 이제는 이곳이 원래 바다였다는 것조차 알 수 없지만, 이곳엔 사람이든 굴이든 생명을 담았고 살게 했던 것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 노동과 생존이 꿈처럼 피어나고 넝쿨처럼 자란 형상을 풍요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싶었다.

 

Q2. <굴 땅> 작업을 진행하게 된 계기가 있다는데, 그것은 무엇이고 작품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2015 겨울 인천 만석동 우리미술관 개관전(집과 집 사이_Space Ado 정상희 기획)을 위해 만석동 지역리서치를 하면서 이 지역과 이곳 사람들의 삶의 단편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인천 만석동은 매우 검소한 사람들이 사는 곳이다. 이곳에서 버려지는 것은, 내다팔고 남은 굴 껍질과 연탄재 뿐 일 정도다. 이 검소한 곳에서 조차 버려지는 굴 껍질은 사실 오랫동안 이 지역에 쌓여 땅으로 개간되는데 쓰였다고 한다. 우리가 지금 밟고 있는 땅 아래를 채운 것이다. <굴 땅>은 인천 해안가 사람들의 고된 삶의 역사가 만들어낸 땅의 이야기를, 그 지역의 생계수단인 굴, 그 껍질로 덥혀 개간된 땅 위에 사는 사람들, 그리고 자신을 내어준 바다의 이야기에 주목하고자 했다.

 

빈손으로 바다에게 와

땅을 짓고 집을 세워 가족을 지킨 사람들

그들을 위해 기꺼이 정착해준 바다.

바다였던 도시

바다였던 집들

바다였던 길

바다였던 사람들

잠시 정주하지만, 보이지 않는 땅 속에 숨은 바다의 꿈

사람에게 자신을 내 준 바다 이야기

그리고 그런 사람의 이야기

 

Q3. 자연, 주변의 것들을 작업으로 연결시키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어떤 특정 계기에 의한 거라 말하기 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소백산의 풍기에서 성장기를 보내며 놀거리라고는 자연에서 찾아야 했던 환경, 그리고, 미술대학에 와서 비싼 등록금만으로도 아르바이트로 충당 안되는 부담이었기에 작업재료는 학교 뒷산 숲에서 구하거나, 미술대학에서 버려지는 것들로 작업을 해야 했던 대학시기, 그리고, 유교사상으로 가족을 지배하셨던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많은 형제 자매들이 함께 살았던 시골에서 어린 여자아이로 성장하며 주변인을 관찰하게 된 것 등의 환경들이 자연스레 작업의 방식 속으로 들어왔고, 그 대상이 확장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Q4.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 자연이 작품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작품을 설치할 때 고려하는 요소가 있는가?

공간과 자연을 작가가 직접 고르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그 공간과 자연이 작업을 선택하는 것 같습니다. 이 말인즉, 작가가 어떤 작업을 구현하고, 그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을 찾는 일보다, 마음에 들어오는 공간을 만나고, 그 공간과 함께 작업을 해나가는 것이 제 이상입니다. 이번전시에서는 사실 두가지가 모두 들어가 있기는 합니다.

먼저, 인천의 만석동이라는 공간을 만났고, 그 공간의 사람과 이야기, 자연, 환경 등을 배웠고, 그래서 그 공간이 마음으로 들어와 작업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받아온 굴껍질과, 어떤 형상으로 세상에 나올지에 대한 개략적인 드로잉이 나오고, 아트플랫폼 입주작가로서 주변 공간과 환경을 한 달 넘도록 산책하며 관찰했습니다. 이 아이가 어디에서 행복하게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서요...

이번작품 굴땅은 이렇게 해안동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매번 매 작품, 매 만나지는 공간마다 고민하는 요소는 달라지겠지요..

 

Q5. 대지미술, 또는 장소 특정적 작업 거대 설치작업들을 진행하며 어려운 점이 많았을것 같다. 구상만하고 실현하지 못한 작품이 있다면, 또는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헤프닝이 있다면 이야기해 달라.

어렵지요... ^^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정도의 무게는 가지고 사시는 것 같구요 또 어려움을 잊을만큼의 즐거움이 있어 계속하는 것 같습니다.^^

대형작업들은 특히, 혼자의 힘이나 경재력으로는 구현이 어렵고, 당연히 공공 공간일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한 서류작업들이 필요합니다. 작가들이 무척이나 힘들어하고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지요... 말하자면, 작업을 구현하기 위해 지원 가능한 단체나 기관을 설득하는 일이 가장 어렵습니다.

그 나머지 작업을 구현하는데 날씨, 사람, 기술 등의 것들은 모두 사람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을 귀히 여기고, 배우고, 시간을 헛쓰지 않도록 잘 준비하면 오히려 재미있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물론 좋은 사람을 만나는 행운도 필요합니다. ^^

 

구상하고 실현하지 못한 작업들은 하루에도 몇 개씩 드로잉북에 쌓입니다. 구조적으로 불가능해서, 기술적으로 아직 몰라서, 재정적으로 불가능해서... 등은 모두 큰 문제는 아닙니다. 나중에 어느날 그 드로잉북을 봤는데, 그때 실현가능하면 하면 되니까요.. 드로잉한 작업들이 세상에 나오지 못하는 이유는 아직까지 충분히 익지 않았고 충분히 배고프지 않아서입니다. 개념이 소통하능하도록 자랐고, 또 방식이 이해가능하고, 또 무슨일이 있어도 너무너무 해보고 싶어지면, 실현 가능한 방법들을 찾고 제안하고 지원하는데 시간을 들이는 것이 아깝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

 

뜨거운 날씨에 땅이 된 바다의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날 주민분들이 지나가시며 ? “땅이 된 바다?” 그래... 여기가 오래전에 바다였지... 하하하하시는 할아버지들, 아가에게 ‘-야 이게 뭔지 알아? 바다의 굴껍질이다~~ ’하시는 아기 엄마, 그리고 갖난 아기를 안고, 바다와 넝쿨과 굴에 대한 노래를 지어부르시며 작업주변에서 작품을 즐기시는 분들이 작업중인 우리를 행복하게 깨어있게 했습니다.

 

 

Q6. <어디서 굴러먹던 돌멩이> 작업에 대해 설명해 달라.

I meet with stone. - 어디서 굴러먹던 돌멩이, 일명 ‘Stone Project’20031월 안양에서 처음 시작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장기 작업입니다. 5년에 한번 씩은 전체를 모아 개인전을 통해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어느 새로운 지역이나 새로운 시간에 길 위에서 굴러다니는 돌멩이를 만나면, 카메라를 내려놓고, 셔터를 눌러, 그 돌멩이가 보았음직한 풍경을 기록합니다. 그리고 그 돌멩이 위에 돌멩이를 만날 날자와 장소를 적어둡니다.

산의 돌은 그 산을, 강의 돌은 그 강을, 시골의 돌은 그 시골을, 도시의 돌은 그 도시를 닮아있습니다. 그곳에 오래 산 사람처럼요... 사실 돌멩이는 사람보다 더 오래 살지만, 이름 없이 길 위에서 사람들의 발에 차이기도 하지요.. 그런 이름 없는 돌멩이를 누군가 작가가 만나고, 그 만남을 기록하면, 전시장에서 재미있는 일이 생깁니다.

사람들이 하나하나의 돌멩이를 자세히 보고, 그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찾으려 하게 되거든요. 전시장 벽에 붙은 종이에 있는 사진과 새겨진 날자와 장소, 돌멩이에 써진 날자와 장소를 기반으로 그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새로운 인연이 생겨납니다.

매칭되는 사진과 돌멩이를 찾는 관람객에게는 작품을 1000원에 그 자리에서 드립니다. 그관객이 그 돌과 맻여진 인연을 위해 찾는데 들인 시간이 그 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돌은 또 누군가에게 기억되기에 이제 더 이상 이름 없는 아이가 아니게 됩니다.

 

 

Q7. 개인적으로 가장 애착이 가는 작업은 무엇인가? 작업에 대해 소개해 달라.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모든 작업이 다 애착이 가지만, 작업이 완성되고 나면 작품은 모두 그들의 삶을 살아갑니다. 저의 가장 애착이 가는 작업은 다음 작업입니다. 그 이유는 지금 제 온 영혼이 집중해 있고, 또 다음에 태어날 아기이기 때문입니다. ^^ 당연히 아직 말씀드리기엔 덜익어서요 ..^^;;;

 

Q8. 작품을 통해 관객들에게 반드시 전달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전달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이미 관객들 모두 알고있거나 가지고 있거나, 보았거나 느꼈던 것들로 작업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 흔하고 사소한 것들을 작가라는 사람이 귀히 다시 보여드리며, 가진 것을 인식시키고 그게 얼마나 귀하고 소중한지, 또는 얼마나 아름다운지 다시 보게 하는 일을 하는 것같습니다.

 

 

전시정보

전시명 : 김순임 개인전땅이 된 바다_ 굴 땅

기 간 : 2016. 8. 26() ~ 10. 30()

장 소 : 인천아트플랫폼 E동 앞 야외

전시연계 간담회 : 땅이 된 바다에 관한 수다

초대패널_ 채은영(임시공간 기획자), 정상희(Space Ado 기획자), 김순임(작가)

장소 : 인천아트플랫폼 G2

날자 : 2016. 10. 29 , 3pm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