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

비평 Critic

The Place Where A Stone Has Laid Its Eyes On Becomes Someone’s Special Memory-By Seok-tae Park(박석태)

 The Place Where A Stone Has Laid Its Eyes On Becomes Someones Special Memory

Culture & Critique - Solo Exhibition of Soon-im Kim


By Seok-tae Park, instructor, Art History, Choong-Ang University

April 8, 2008

Inchon Ilbo



Usually, gallery is understood as a place where small number of people displays their art pieces unilaterally while large majority of audience views them passively. However there is a place in Incheon, Korea which shook itself free from this notion of traditional gallery. It is gallery Space Beam which moved from Kuwol-dong to Baedari, Incheon in September, 2007 and found its new home at the old building of Incheon Brewing Company. The company used to make various tasty liquors including Makgeoli (Korean traditional liquor made from rice) but its building has been vacant for recent ten years. Space Beam has been doing various projects, taking its local identity, Inchon, into serious consideration. In this spring, a special exhibition is being held there.


Soon-im Kim is a young artist who has been steadily exhibiting her work all over the world. The title of her solo exhibition held from April 4, 2008, Friday to April 17, 2008, Thursday, is I Meet with Stone. As the title says, the main characters of the exhibition are the actual stones, photographs of them, and pieces of records about them made by the artist.


I try to remember when and where I met these stones. I take pictures where we met, from the stones viewpoint and remember the place and the date. Now these stones become special to me, and special to someone with whom they share memories. (from the artists statement)” The artist does not obviously draw in abstruse concepts of modern art. She let the audience approach her work naturally and let those present glimpses of their lives in whispers. Among many stones, at least one becomes special to the audience who has memory about the place from which the stone came. Therefore the theme of her solo exhibition is not about the stones but about the life. There is a life to each of the stones which get kicked around and wander following the streams. Soon-im Kim pays attention to the life of stone, which is destined to stay in one place forever unless touched by someone. Because the stone cannot move, it cannot withdraw its eyes fixed to one direction.


The pictures filling up the walls of the Space Beam gallery, all capture what the stones had seen. However, Soon-im Kims stones do not remain as mere materials. Actually, the material she used need not to be stones. It could be soil, trees or any other materials if the artists attention could be paid to their views. It is because what is important is not what kind of materials are used but the artists inward viewpoint cherishing them with warm perspective.


Soon-im Kims project can be characterized by personification because she projects her views onto the stones, which are mere immobile materials. In her work of personifying objects, three factor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They are the artists view, the view of the material (stone) and the view of the camera whose shutter is pressed by the artist.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personified stone and the artists thoughts behind it generates similar association effect for the audience. Therefore, the reactions of the audience visiting the gallery are interesting. Reading the notes of the photos (For each photo, the artist made a record of place and time at which she took the picture.), the audience recall their own memories. They feel sorry looking at the picture of the disappeared town; they think of their own everyday lives seeing the picture of modest earthy road; they feel comfort in the scene filled with warm, sunny breeze.



Like this, Soon-im Kim
s recent work can be approached easily and enjoyed without having basic knowledge about art history or recollecting difficult concepts of modern art. Seeing through the eyes of the stones, we ge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many small things we come across in our journey of life.


The stone which might have seen the redevelopment scene of North Ahyun-dong (town) in Seoul, which now is disappeared, is living another life in the gallery, being watched by the audience. In Baedari, Incheon, where the gallery Space Beam is located, an industrial highway is expected to be built. Would trifling stone in Baedari, which could soon to be dug up and hacked to pieces, wait a life like that? Where would those stones in Baedari roll along again?

http://cafe.naver.com/vaedari.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264

돌멩이 시선 머무른 그자리 누군가에 특별한 추억으로-김순임 개인전

                                                    박석태 중앙대 강사,미술사

소수의 사람들이 일방적으로 보여주고 대다수의 관객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전통적인 갤러리의 개념을 벗어난 곳이 인천에 있다. 지난 해 9월 구월동에서 배다리로 이전한 스페이스 빔. 막걸리를 비롯한 맛 좋은 술을 만들었다지만 근 10년 동안 비어 있던 인천양조주식회사로 입주한 스페이스 빔은, 인천이라는 지역의 정체성을 진지하게 고민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펴 나가고 있다. 새 봄, 그곳에서 조금은 특별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김순임은 세계 여러 나라를 무대로 꾸준히 작품을 발표해 온 젊은 미술가다. 4월4일(금)부터 17일(목)까지 열리는 그의 개인전 타이틀은 '어디서 굴러먹던 돌멩이'.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전시회의 주인공은 실제의 돌멩이와 그것을 찍은 사진과 작가가 기록한 작은 기록들이다.

"나는 이 돌멩이들을 만났던 장소와 시간을 기억하려 한다. 돌멩이를 만난 장소에서 돌멩이의 시점으로 사진을 찍고, 날짜와 장소를 기억한다. 이제 이 돌멩이들은 나에게 특별해지고, 이들은 또 그들과 인연이 있는 누군가에게 특별한 돌멩이가 된다.(개인전 도록 서문)" 작가는 난해한 현대미술의 개념을 소리 내어 끌어들이지 않는다. 관객이 자연스럽게 다가오게 하고, 그들 삶의 편린들을 속삭이듯 꺼내 놓게 만든다. 많은 돌멩이 중에 적어도 하나는 돌멩이가 있었던 바로 그곳에 추억이 있는 관객에게는 특별해진다. 그래서 그의 개인전의 주제는 돌멩이가 아닌 삶이다. 발끝에 채이고 물의 흐름을 따라 여기 저기 떠도는 돌 하나하나에도 삶은 있다. 김순임은 누구인가 건드리지 않는다면 영원토록 그곳에 머물 수밖에 없는 돌의 삶에 주목한다. 움직일 수 없으므로 돌은 고정된 시선을 거둘 수도 없다.

스페이스 빔 전시장을 가득 메운 사진들은 온통 돌이 바라본 모습들이다. 그러나 김순임의 돌은 그저 재료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아니, 어찌 보면 그가 사용한 돌이라는 재료는 반드시 그것이 아니어도 될 것 같다. 흙이라도, 나무라도 그것들의 시선을 작가의 시선으로 바라봐 줄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든 상관없을 성 싶다. 중요한 건 재료가 아니라 그것을 따뜻한 시선으로 품는 작가의 내면의 시선이기 때문이다.

움직일 수 없는 물질일 뿐인 돌멩이에 작가의 시선을 투영한다는 점에서 그의 작업은 의인화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에서 사물을 사람처럼 만드는 과정에서 세 가지의 작용이 그 속에 개입된다. 작가의 생각, 재료(돌멩이)의 시선 그리고 작가가 셔터를 누르는 카메라의 시선이 그것이다. 재미있는 점은 의인화를 시키는 돌멩이와 작가의 생각은 보는 사람에게도 같은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시장을 찾은 관객들의 반응이 흥미롭다. 사진의 기록을 보면서(작가는 촬영한 사진마다 장소, 시간 등을 적어 놓았다) 관객들은 저마다의 기억을 떠올린다. 없어져버린 동네의 사진에서는 안타까움을, 소박한 흙길을 찍은 사진에서는 저마다의 지난 일상을, 따사로운 햇볕이 스며든 풍경 속에서는 편안함을 느낀다.

이렇게 김순임의 이번 작품은 굳이 어려운 현대미술의 개념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혹은 미술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편안하게 다가가서 즐길 수 있다. 돌멩이의 시선으로 보면서 우리는 삶의 여정에서 만나는 수많은 작은 것들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이제는 없어져버린, 북아현동의 재개발 광경을 바라보았을 돌멩이는 지금 전시장에 놓여 관객들에게 보여지는 또 하나의 삶을 살고 있다. 스페이스 빔이 위치한 배다리는 산업도로가 건설되려 한다. 반 토막으로 파헤쳐질 수도 있는, 지금의 배다리에 있는 보잘 것 없는 돌멩이도 그러한 삶을 기다릴까. 이제 배다리의 돌들은 다시 '어디서 굴러먹을' 것인가.